문법 책을 보면 관계부사가 '접속사 + 부사'의 역할을 하고 형용사절을 이끈다고 나와 있어요. 또 선행사에 따라 when, where, why, how 4가지가 있고,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바꿀 수 있다고 하죠. 그런데 이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죠?

지금부터 관계부사가 왜 생겼고 무엇인지, 우리가 배운 관계대명사 지식을 바탕으로 예문을 통해 알아볼 거예요.

먼저, 이 문장을 볼까요?
The apartment which I live.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이 문장 맞을까요? 틀렸다면 뭐가 틀렸을까요?

선행사는 아파트고, 선행사가 사물이니까 which를 썼고... 틀린 게 없어 보이죠?
하지만 실제로는 The apartment which I live in.이라고 해야 맞아요. 왜 그럴까요?

우리가 아파트 '안에서' 사는 거잖아요. 그래서 which 이하를 풀어쓰면 I live in the apartment.가 돼요.
live라는 자동사 뒤에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명사'의 부사구가 온 거예요.

전치사 in은 이렇게 관계대명사 which 앞에 올 수도 있어요
The apartment in which I live.
또 다른 예문을 볼까요?
The day of the week which we met. (우리가 만난 요일)

이 문장도 맞을까요?
우리가 만난 게 일주일 중 어느 요일이니까, '요일에'에 해당하는 전치사 on이 필요해요.
The day of the week which we met on.
마찬가지로 전치사 on은 관계대명사 which 앞에 올 수 있어요.

The day of the week on which we met.
Which 이하를 풀어 쓰면 'We met on the day of the week'가 돼요.
전치사+명사
이렇게 '전치사+명사'로 된 전치사구를 관계대명사로 연결할 때, 선행사가 뭐냐에 따라 in, on, at, for 등 어떤 전치사를 쓸지가 정해져요.

바로 여기서 관계부사가 필요해지는 거예요.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문장을 연결하면 사람들은 매번 어떤 전치사를 쓸지 고민해야 해요.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올바른 전치사를 쓰기 위해 생각을 해야 하고, 때론 잘못된 전치사를 쓰기도 하죠. 원어민이 아닌 외국인에게는 더 어려워요. 전치사를 올바로 쓰기란 정말 어렵거든요.

언어는 쉽게 하기 위해 진화하고 변화해요. 어려우니까 전치사를 몰라도 쓸 수 있는 말을 만들자고 해서 생긴 게 바로 '관계부사'예요.

선행사가 장소에 관계된 거면 where를, 시간에 관계된 거면 when을, 이유에 관계된 거면 why를, 방법에 관계된 거면 how를 쓰자고 규칙을 정한 거예요. 그러면 전치사에 대한 고민이 없어지죠.

위 예문을 관계부사로 표현하면 이렇게 돼요.

The apartment in which I live. - The apartment where I live (장소)
The day of the week on which we met. -- The day of the week when we met. (시간)

이유와 방법에 관한 관계부사 예를 더 볼까요? 이유와 방법은 조금 예외가 있어서 주의해야 해요.

I don't know the reason for which you still love that fat girl. - I don't know (the reason) why you still love that fat girl. (이유)
(난 네가 그 살찐 여자애를 아직도 사랑하는 이유를 모르겠어.)

주의할 점! the reason why는 보통 reason을 빼고 쓰는 경우가 많아요. the reason을 쓸 경우 뒤에 why가 아니라 'the reason that'으로 that을 써야 해요.
What's the reason you buy this expensive pen? (O)
What's the reason that you buy this expensive pen? (O)
(이유가 뭐니? 이 비싼 펜을 사는)
cf. What's the reason why you burn me up? ☞ 이렇게는 쓰지 말아요.

I don't like the way in which my girl friend treats me. - I don't like the way how my girl friends treats me. (방법) (X)
(내 여자 친구가 날 대하는 방식이 싫어요.)

주의할 점! the way how는 잘못된 표현이에요. the way나 how 둘 중 하나만 사용하거나 the way that을 사용해야 해요.

I don't like the way my girlfriend treats me. (O)
I don't like how my girlfriend treats me. (O)
I don't like the way that my girlfriend treats me. (O)

이제 관계부사가 왜 생겼고, 무엇인지, 어떻게 쓰이는지 이해가 되셨죠?

마지막으로 정리해 볼게요.

1) 관계부사를 쓰게 된 이유는 관계대명사절에서 전치사+관계대명사로 쓰는 것보다 간편해서예요.
관계부사가 관계대명사와 전치사를 그 안에 포함하고 있거든요.

Where = in which, on which, at which (장소)
when = in which, on which, at which (시간)
why = for which (이유)
how = in which (방법)

2) where, when, why, how 같은 관계부사를 쓰면 어떤 전치사를 쓸지, 그 전치사를 어디에 둘지 고민할 필요가 없어요.
3) 선행사 뒤에 바로 where, when, why, how를 쓰면 되니까 말의 속도가 빨라지고 전치사 때문에 실수할 가능성이 줄어들어요.
4) where, when, why, how는 관계부사절에서 동사를 꾸며 주는 부사 역할을 해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형용사, 복합관계부사... 이 용어들을 들으면 머리가 복잡해질 수 있어요. 저도 예전에 이 용어들만 보고 공부하기 싫어졌던 기억이 나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이렇게 기억해두면 아주 쉬워질 거예요.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알고 계신다고 가정하고 그걸 바탕으로 설명해 드릴게요.

복합관계대명사의 '복합'이란 말은 두 가지 포인트가 있어요.


1. 'ever'가 추가로 붙어서 강조의 뜻을 나타내요.
2.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어요.

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 쉬워요.

예문을 통해 일반 관계대명사와 복합관계대명사의 차이를 살펴볼까요?

I like the person who works hard. (열심히 일하는 사람을 좋아해요.)
I like whoever works hard.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좋아해요.)

두 번째 문장에서는 'whoever'를 사용해서 '누구든지'라는 뜻으로 강조했어요. 그리고 'whoever'는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어서 'the person'이 필요 없죠.

더 강조하고 싶다면 'no matter who'를 써서 이렇게 표현할 수 있어요
I like no matter who works hard. 이게 제일 강조된 형태예요.

복합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ever)
- who + ever = whoever (누구든지)
- which + ever = whichever (어느 것이든지)
- what + ever = whatever (무엇이든지)

복합관계부사 (관계부사 + ever)
- where + ever = wherever (어디든지)
- when + ever = whenever (언제든지)
- how + ever = however (어떻게 하든지)

이걸로 복합관계사 설명은 끝났어요.

복합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와 ever가 합쳐진 말로, 강조의 뜻을 가지고 있어요. 문법적으로는 '선행사 +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하며, 명사절과 양보의 부사절을 이끌어요. 명사절을 이끈다는 건 복합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이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는 뜻이에요.

정리하자면

[복합관계대명사]
1. 형태: 관계대명사 + ever
2. 역할:
- 선행사 + 관계대명사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는 말)
- 명사절을 이끔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로 쓰임)
- 양보의 부사절을 이끔 (no matter 구문으로 바꿀 수 있음)

3. 복합관계대명사 종류와 해석
- whoever (누구든지)
- whichever (어느 것이든지)
- whatever (무엇이든지)

예문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Whoever wins the game will receive this prize. (명사절, 주격으로 쓰임 - 복합관계대명사 주격)
Anyone who wins the game will receive this prize.
(이 게임에 이기는 사람은 누구든지 이 상을 받을 거예요.)

- I will give this to whoever gets the point. (명사절, 주격으로 쓰임 - 복합관계대명사 주격)
(점수를 따는 사람은 누구든지 이걸 줄 거예요.)

- Whoever you are, don't come in. (양보의 부사절)
= No matter who you are, don't come in.
(당신이 누구든, 들어오지 마세요.)

- We will offer a good salary to whomever you like. (복합관계대명사 목적격)
(당신이 좋아하는 사람은 누구에게나 좋은 연봉을 제공할 거예요.)

- Whomever I will invite, the party will be a success. (양보의 부사절)
(내가 누구를 초대하더라도, 파티는 성공할 거예요.)

- You can bring whatever you want (to).
= You can bring anything that you want (to).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가져올 수 있어요.)

- Whatever they say to you, never mind.
= No matter what they say to you, never mind.
(그들이 무슨 말을 하더라도, 신경 쓰지 마세요.)

- Take whichever you want. (원하는 것은 어느 것이든 가져가세요.)

복합관계대명사는 이제 다 이해하셨죠? 그럼 복합관계부사는 정말 쉬워요!

[복합관계부사]
1. 형태: '관계부사 + ever'
2. 주로 문장 앞에서 양보의 부사절을 이끌며, 복합관계부사가 문장 앞에 있을 때는 절 끝에 쉼표가 있어요.
3. 복합관계부사의 종류와 의미
- whenever (언제든지)
- wherever (어디든지)
- however (어떻게 하든지)

예문을 볼까요?

- Sales skyrocketed whenever we lowered our prices.
= Sales skyrocketed at any time when we lowered our prices.
(가격을 낮출 때마다 판매가 급증했어요.)

- The newly elected president was warmly received wherever he went.
(새로 선출된 대통령은 가는 곳마다 환대를 받았어요.)

- Let's go wherever you like.
(당신이 좋아하는 곳은 어디든지 가요.)

- However much money is spent for TV commercials, a poor product will not sell.
= No matter how much money is spent for TV commercials, ~
(아무리 많은 돈을 TV 광고에 써도, 질 나쁜 제품은 잘 팔리지 않아요.)

마지막으로 복합관계형용사를 알아볼까요?

[복합관계형용사]
복합관계형용사는 복합관계대명사와 문법적 내용이 거의 같아요. 단, 명사 앞에 쓰여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는 점만 달라요.

복합관계형용사에는 'whatever'와 'whichever' 이 두 가지만 있어요.

예문을 보면

Whichever bus goes there is rapid.
(거기에 가는 어느 버스든지 급행이에요.) ('whichever'가 'bus'라는 명사를 수식해요)

You can eat whatever food you like.
(네가 좋아하는 무슨 음식이든지 먹을 수 있어요.) ('whatever'가 'food'라는 명사를 수식해요)

이렇게 복합관계사를 모두 살펴봤어요. 어떠세요? 처음에는 복잡해 보였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니 그렇게 어렵지 않죠? 꾸준히 연습하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이번 시간은 준동사 중 하나인 동명사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to부정사를 아신다면 동명사는 정말 쉬워요.
동명사(Gerund)는 동사와 명사가 합쳐진 말이에요. 동사의 성질을 가지면서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죠.


해석은 '~하기, ~하는 것'으로 해요.
형태는 '동사원형 + ing'예요. 현재분사와 형태가 같아서 헷갈릴 수 있어요. 나중에 동명사인지 현재분사인지 구별하는 방법을 따로 알려드릴게요.


동사의 성질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동사처럼 목적어를 가질 수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고, 때론 주어도 가질 수 있어요. 시제 표현도 가능하고요. 이게 동사의 주요 특징이에요. 반면에 명사는 어떨까요? 명사가 목적어나 주어를 가질 수 있나요? 없죠?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를 명사화한 게 동명사라서 당연히 동사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동사를 명사화한 거라 명사가 가진 역할도 할 수 있어요.

 

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죠?

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으니 동명사도 당연히 이 세 가지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동명사의 동사적 특성]
동명사의 동사적 성질을 예문으로 확인해 볼까요?


a. Taking the subway is much faster than driving. - 동명사 taking이 명사 the subway를 목적어로 가지고 있어요.
b. Not staying up late at night can help you wake up. - 동명사 Not staying up이
late at night의 수식을 받아요.


c. I don't understand his being lazy. - 동명사 being lazy의 주어로 his가 있어요. 주의할 점은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는 '소유격'으로 표현한다는 거예요. 의미상 주어가 뭔지는 나중에 따로 설명할게요.


d. He is proud of having been a teacher in Korea. - having+과거분사 형태로 본동사의 시제보다 앞선 걸 표현했어요.
그는 한국에서 교사였던 걸 자랑스러워해요.


이렇게 동명사는 동사처럼 목적어, 주어를 가질 수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고 시제뿐 아니라 수동태로도 표현할 수 있어요. 그래서 동사의 성질을 가졌다고 하는 거예요.


[동명사의 변신:오직 명사로]
to부정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 세 가지로 쓸 수 있다고 지난 시간에 배웠죠? 그래서 to부정사에는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세 가지가 있어요. 기억나시죠?
반면에 동명사는 명사적 용법 하나밖에 없어요. 문장에서 오직 명사 역할로만 쓰여요.
따라서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로서 아래 네 가지 역할로 쓰여요.

a.주어가 되어 문장을 이끌어요
Preparing for the exam is not easy.
그 시험을 준비하는 건 쉽지 않아.

b.목적어로 쓰여 동작을 받아요

I like watching sitcoms.
난 시트콤 보는 걸 좋아해.

 

c.보어로 나와 설명을 더해줘요
My hobby is playing the guitar.
나의 취미는 기타 치는 거야.


d.전치사 뒤에서 친구가 되어줘요
Thank you for telling me the news.
그 소식을 내게 말해줘서 고마워.


[to부정사 대신 동명상를 쓰는 이유는 뭘까요?]

설명을 듣다 보면 이런 의문이 생길 수 있어요.
to부정사에도 명사적 용법이 있으니 동사를 명사화하고 싶을 때 to부정사를 쓰면 되지 왜 복잡하게 동명사라는 걸 만들어서 고생시키는 걸까?


'좋은 소식 듣기를 기대할게요'라는 문장을 to부정사로 표현해 볼까요?
I am looking forward to to hear a good news.
보시다시피 to가 두 개나 나와요. 앞의 to는 look forward to라는 숙어의 일부분으로 전치사예요. 뒤의 to는 to부정사의 to예요. 어때요? to가 두 개 나오니 복잡하고 헷갈리지 않나요?
to부정사는 바로 이런 한계가 있어서 to부정사를 쓰지 않고 동사를 명사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 탄생한 게 동명사예요.
I am looking forward to hearing a good news.
어떤가요? to 전치사 뒤에 to부정사가 아니라 동명사를 쓰니 문장이 훨씬 간단해졌죠?

 

*동명사를 왜 쓰는 걸까요?
1. 동사와 동사를 함께 쓸 수 없어서
I like watch sitcoms. (X)
- I like watching sitcoms (O)
2.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와야 해서
Thank you for to tell me the news (X)
- Thank you for telling me the news (O)
3. 동사를 주어/목적어/보어 자리에 둬야 할 때 위 동명사 용법 예문 참조해주세요.


*동명사를 만드는 꿀팁
동사에 -ing를 붙여서 만들어요.
1. 동사 + -ing eating
2. -e로 끝나는 동사 + -ing dancing
3. 단모음 + 단자음 + -ing swimming (끝 모음을 한 번 더 써줘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오늘은 첫 강의로 to부정사의 주요 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to부정사(to + 동사원형)는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사용될 수 있어요. 문장 안에서 명사처럼 쓰이면 명사적 용법, 형용사처럼 쓰이면 형용사적 용법, 부사처럼 쓰이면 부사적 용법이라고 해요. 간단하죠?


영어 8 품사 중 명사, 형용사, 부사가 뭔지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자, 이제 to부정사의 명사, 형용사, 부사적 용법을 예문을 통해 간단히 살펴볼게요.

명사처럼 쓰이는 to부정사 (명사적 용법)

to부정사가 명사처럼 쓰인다는 건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된다는 뜻이에요.

목적어 역할 ('~하는 것을, ~하기를'로 해석)
목적어는 문장에서 '~을, ~를'로 해석된다고 배웠죠? 문장 내 위치는 목적어 자리예요.

I want to buy a digital camera. 나는 디지털카메라를 사고 싶어요.
One day I hope to travel around the world. 언젠가 세계 여행을 하고 싶어요.
He refused to take my advice. 그는 내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았어요.

주어 역할 (~하는 것은으로 해석)

To eat junk food is not good for you. 정크푸드를 먹는 건 건강에 좋지 않아요.
To study English is important. 영어 공부하는 건 중요해요.

보어 역할 (A는 B이다처럼 '~는 것이다'로 해석)

My wish is to buy a car. 내 소원은 자동차를 사는 거예요.
My plan is to study Chinese. 내 계획은 중국어를 공부하는 거예요.

의문사 + to부정사
주로 동사 뒤에서 목적어로 쓰여요. 주의할 점은 why는 이 구문에서 쓸 수 없어요.
a. what to ~ : 무엇을 ~해야 할지
I don't know what to say.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b. how to~ : 어떻게 ~해야 할지
He asked me how to do it. 그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어봤어요.
c. when to ~: 언제 ~해야 할지
Tell me when to stop. 언제 멈춰야 할지 알려줘요.
d. where to ~: 어디로(어디에서) ~해야 할지
I don't know where to go for a romantic dinner. 로맨틱한 저녁 식사를 어디서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e. who(m) to ~: 누구를 (누구와, 누구에게) ~해야 할지
I can't decide who(m) to marry, Mary or Ann. 메리랑 앤 중에 누구와 결혼해야 할지 결정할 수가 없어요.
f. 의문사+to부정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Ideas about how to punish children differ from culture to culture.
아이들을 어떻게 벌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은 문화마다 달라요.

형용사처럼 쓰이는 to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형용사는 문장에서 명사 앞이나 뒤에 놓여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해요. to부정사가 형용사처럼 쓰일 때는 명사 뒤에서 명사를 꾸며줘요. '~할, ~한' 등으로 해석돼요.

It is time to study. 공부할 시간이에요.
I have a book to study. 공부할 책이 있어요.
I have something to show you. 보여줄 게 있어요.

형용사는 명사 앞에서 명사를 꾸밀 수도 있지만 'I am happy.'처럼 주어의 상태를 서술하는 형태로도 쓸 수 있어요. 이걸 형용사의 서술적 용법이라고 해요.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도 이런 서술적 용법이 있어요.
She is to meet Jim tomorrow. 그녀는 내일 짐을 만날 예정이에요. (be to 용법으로 예정을 나타내요.)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에서 서술 용법은 'be to용법'이 대표적이에요. be to 형태가 나오면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중 서술 용법이라고 바로 이해하세요. be to 용법에는 예정, 의무, 의도/조건, 가능, 운명, 수동의 뜻이 있는데 나중에 더 자세히 배울 거예요.

부사처럼 쓰이는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to부정사가 부사적 용법으로 쓰인다는 건 부사처럼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는 뜻이에요.

I will do it to help you. 너를 돕기 위해 그걸 할 거야. (동사 수식)
This soup is good to eat. 이 수프는 먹기 좋아요. (형용사 수식)
To be honest, I don't know much about it. 솔직히 말하면, 난 그것에 대해 잘 몰라요. (to부정사가 콤마로 분리되어 문장 전체 수식 --- 이런 걸 독립부정사라고 불러요. 예: Strange to say, my dog saved my life.)

-목적, 결과, 조건을 나타내는 to부정사-
to부정사가 부사적으로 쓰일 때, 다음과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요. 어떻게 해석되는지 알면 독해 같은 데서 문장의 뜻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돼요. 그러니까 다음의 대표적인 해석 유형은 꼭 알아두세요.
a.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 '~하기 위해(서)'로 해석

She ran (in order) to catch the bus. 그녀는 버스를 타기 위해 뛰었어요.
= She ran so that she could catch the bus.
I turned down the volume (in order) not to disturb my roommate.
룸메이트를 방해하지 않으려고 볼륨을 줄였어요.
= I turned down the volume so that I wouldn't disturb my roommate.

참고.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
긍정문일 때는 so that ~ can (could) 구문으로
부정문일 때는 so that ~ won't (wouldn't) 구문으로 바꿔 쓸 수 있어요.

b. 결과를 나타내는 to부정사: '~해서 그 결과 ~하다. / 했으나 결국 ~하다'로 해석
뒤에서부터 거꾸로 번역하지 말고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해석해요.
문맥에 따라 and 또는 but의 의미 중 하나로 해석해요.

I awoke to find myself in a strange place. 깨어나보니 이상한 곳에 있더라고요. (깨어난 결과 이상한 곳에 있는 걸 알게 됐다는 의미)
= I awoke and found myself in a ~
He studied very hard, only to fail the entrance exam. 열심히 공부했는데도 결국 입학시험에서 떨어졌어요.
= He studied very hard but failed the entrance exam.

c. 조건을 나타내는 to부정사: '(만일) ~한다면'으로 해석

You may be surprised to learn that he's deaf. 그가 귀가 안 들린다는 걸 알면 놀랄 거예요.
= You may be surprised if you learn that he's deaf.

참고) to부정사가 조건의 의미로 쓰일 때는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앞에 오는 경우가 많아요.

To hear him talk, you would take him for an expert. 그의 말을 들어보면 전문가라고 생각할 거예요.

참고) 위 문장처럼, to부정사구가 가정법의 조건절 대신에 쓰이기도 해요.

d. 판단의 근거를 나타내는 to부정사 : '~하다니'로 해석

You must be a fool to believe that. 그걸 믿다니, 넌 바보임에 틀림없어.

e. 원인을 나타내는 to부정사 : '~해서'로 해석

I am really glad to see you again. 널 다시 만나서 정말 기뻐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