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은 준동사 중 하나인 동명사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to부정사를 아신다면 동명사는 정말 쉬워요.
동명사(Gerund)는 동사와 명사가 합쳐진 말이에요. 동사의 성질을 가지면서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죠.


해석은 '~하기, ~하는 것'으로 해요.
형태는 '동사원형 + ing'예요. 현재분사와 형태가 같아서 헷갈릴 수 있어요. 나중에 동명사인지 현재분사인지 구별하는 방법을 따로 알려드릴게요.


동사의 성질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동사처럼 목적어를 가질 수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고, 때론 주어도 가질 수 있어요. 시제 표현도 가능하고요. 이게 동사의 주요 특징이에요. 반면에 명사는 어떨까요? 명사가 목적어나 주어를 가질 수 있나요? 없죠?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를 명사화한 게 동명사라서 당연히 동사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동사를 명사화한 거라 명사가 가진 역할도 할 수 있어요.

 

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죠?

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으니 동명사도 당연히 이 세 가지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동명사의 동사적 특성]
동명사의 동사적 성질을 예문으로 확인해 볼까요?


a. Taking the subway is much faster than driving. - 동명사 taking이 명사 the subway를 목적어로 가지고 있어요.
b. Not staying up late at night can help you wake up. - 동명사 Not staying up이
late at night의 수식을 받아요.


c. I don't understand his being lazy. - 동명사 being lazy의 주어로 his가 있어요. 주의할 점은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는 '소유격'으로 표현한다는 거예요. 의미상 주어가 뭔지는 나중에 따로 설명할게요.


d. He is proud of having been a teacher in Korea. - having+과거분사 형태로 본동사의 시제보다 앞선 걸 표현했어요.
그는 한국에서 교사였던 걸 자랑스러워해요.


이렇게 동명사는 동사처럼 목적어, 주어를 가질 수 있고,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고 시제뿐 아니라 수동태로도 표현할 수 있어요. 그래서 동사의 성질을 가졌다고 하는 거예요.


[동명사의 변신:오직 명사로]
to부정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 세 가지로 쓸 수 있다고 지난 시간에 배웠죠? 그래서 to부정사에는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세 가지가 있어요. 기억나시죠?
반면에 동명사는 명사적 용법 하나밖에 없어요. 문장에서 오직 명사 역할로만 쓰여요.
따라서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로서 아래 네 가지 역할로 쓰여요.

a.주어가 되어 문장을 이끌어요
Preparing for the exam is not easy.
그 시험을 준비하는 건 쉽지 않아.

b.목적어로 쓰여 동작을 받아요

I like watching sitcoms.
난 시트콤 보는 걸 좋아해.

 

c.보어로 나와 설명을 더해줘요
My hobby is playing the guitar.
나의 취미는 기타 치는 거야.


d.전치사 뒤에서 친구가 되어줘요
Thank you for telling me the news.
그 소식을 내게 말해줘서 고마워.


[to부정사 대신 동명상를 쓰는 이유는 뭘까요?]

설명을 듣다 보면 이런 의문이 생길 수 있어요.
to부정사에도 명사적 용법이 있으니 동사를 명사화하고 싶을 때 to부정사를 쓰면 되지 왜 복잡하게 동명사라는 걸 만들어서 고생시키는 걸까?


'좋은 소식 듣기를 기대할게요'라는 문장을 to부정사로 표현해 볼까요?
I am looking forward to to hear a good news.
보시다시피 to가 두 개나 나와요. 앞의 to는 look forward to라는 숙어의 일부분으로 전치사예요. 뒤의 to는 to부정사의 to예요. 어때요? to가 두 개 나오니 복잡하고 헷갈리지 않나요?
to부정사는 바로 이런 한계가 있어서 to부정사를 쓰지 않고 동사를 명사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 탄생한 게 동명사예요.
I am looking forward to hearing a good news.
어떤가요? to 전치사 뒤에 to부정사가 아니라 동명사를 쓰니 문장이 훨씬 간단해졌죠?

 

*동명사를 왜 쓰는 걸까요?
1. 동사와 동사를 함께 쓸 수 없어서
I like watch sitcoms. (X)
- I like watching sitcoms (O)
2.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와야 해서
Thank you for to tell me the news (X)
- Thank you for telling me the news (O)
3. 동사를 주어/목적어/보어 자리에 둬야 할 때 위 동명사 용법 예문 참조해주세요.


*동명사를 만드는 꿀팁
동사에 -ing를 붙여서 만들어요.
1. 동사 + -ing eating
2. -e로 끝나는 동사 + -ing dancing
3. 단모음 + 단자음 + -ing swimming (끝 모음을 한 번 더 써줘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