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많은 학생들이 골치 아파하는 문법 중 하나인 관계대명사에 대해 파헤쳐 볼게요.
이런 두 문장이 있다고 해볼까요?
I have a friend. The friend lives in Seoul.
(난 친구가 한 명 있어요.) (그 친구는 서울에 살아요.)
이렇게 천천히 말하면 이해하는 데 문제없죠? 글로 쓸 때도 별 문제없어 보이고요.
하지만 말로 할 때는 이런 연관된 두 문장을 따로따로 말하기보다는 연결해서 말하는 게 시간도 절약되고 더 자연스러워요. 바로 여기서 관계대명사가 필요해지는 거죠.
이 두 문장이 연관되어 있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바로 'friend'라는 단어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에요.
영어에서는 반복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반복되는 단어는 다른 걸로 바꾸려고 하죠. (인칭대명사 생각나시나요? Tom이 나왔다면, 그다음엔 'he'로 바꾸잖아요.)
여기서 앞 문장의 'a friend'를 선행사라고 불러요. 그리고 뒤 문장에서 반복된 'the friend'는 관계대명사 'who'로 바꿔요. 왜냐고요? 선행사가 사람일 때는 'who'를 쓰기로 약속했거든요.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Seoul.
그리고 'who'가 이끄는 관계대명사절을 선행사 바로 뒤에 가져다 놓아요. 이래야 무엇을 수식하는지 확실해지니까요.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Seoul.
(나는 서울에 사는 친구 한 명이 있어요.)
이렇게 연관된 두 문장을 'who'라는 관계대명사로 하나로 만들었어요. 여기서 'who'가 이끄는 절은 'friend'를 꾸며주는 형용사절이 되는 거죠.
어때요? 훨씬 간결하고 세련된 느낌이 들지 않나요?
이처럼 관계대명사는 내용상 관계있는 두 문장을 연결할 때 반복되는 단어를 대신해서 쓴 명사예요.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라고도 할 수 있어요. 두 문장을 잇는 접속사 역할과, 반복 단어를 대신하는 대명사 역할을 동시에 하거든요.
그럼 관계대명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오는 선행사, 즉 반복되는 단어가 뭐냐에 따라 종류가 결정돼요.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를 써요.
선행사가 사물이나 동물이면 'which'를 써요.
'that'은 사람, 사물, 동물 어느 경우에도 다 쓸 수 있어요.
한번 예를 들어볼까요?
I read the book. The book was telling about baby's intelligence.
(난 그 책을 읽었어요.) (그 책은 아기의 지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어요.)
먼저, 반복되는 말을 찾아요. 'book'이 반복되죠?
뒤 문장의 'the book'을 관계대명사로 바꿔요.
어떤 걸로 바꿀 수 있을까요? 선행사인 'the book'은 사물이니, 'which'나 'that'을 쓸 수 있어요.
사물은 주로 'which'를 쓰니까 여기선 'which'로 해볼게요.
I read the book. Which was telling about baby's intelligence.
마지막으로 'which'가 이끄는 관계절을 선행사인 'the book' 바로 뒤에 가져가요.
I read the book which (that) was telling about baby's intelligence.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로 한 문장으로 만드는 거 생각보다 쉽죠? 다음 편도 기대해 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영문법 가정법 마스터하기 1 :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 (0) | 2024.07.01 |
---|---|
기초영어 형용사 완벽 이해 - 개념과 사용법 (0) | 2024.07.01 |
관계대명사 : 계속적 용법 vs 제한적 용법 - 차이점과 활용법 (0) | 2024.06.30 |
관계부사, 복잡한 문장을 간단하게 만드는 방법 (0) | 2024.06.30 |
복잡해 보이는 복합관계사, 쉽게 정복하는 방법 (31)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