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가정법 중에 가정법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의 형태와 용법에 대해 살펴볼게요.
1. 가정법 현재
a. 내용: 현재 또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뭔가 확실하지 않을 때 써요.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동사의 현재형 (원형) ~, [귀결절] 주어 + will (shall, can, may) 또는 동사의 현재형
c. 해석: (확실치는 않지만) 만일 ~한다면, ~할 것이다 (할 텐데).
d. 예문:
If he is qualified for the job, I will give him a chance. 그가 그 일에 적합하다면, 그에게 기회를 줄 거야. 즉, 그가 그 일에 적합할지 않을지 불확실해요.
주) 가정법 현재의 조건절에는 원래 동사 원형을 써주어야 하지만 현대영어에서는 동사의 현재형을 써주어도 돼요.
따라서, If he be qualified for the job, I will give him a chance라고 쓴 것도 가정법 현재 문장이에요.
If It rains (or rain) tomorrow, I will not go out for a walk.
* 조건절이 뭔지 모르는 분을 위해: if로 시작하는 문장이 조건절이에요. 그리고 그다음에 나오는 문장이 귀결절이고요.
2. 가정법 과거
a. 내용: 현재 사실과 반대로 가정 (이루어질 수 없는 비현실성)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동사의 과거형 ~, [귀결절] 주어 + would (could, should, might 등 조동사의 과거) ~
c. 해석: (사실은 그렇지 않지만) ~한다면, ~할(일)텐데. 현재로 해석해요.
d. 예문:
If the whole family came here for the celebration party, I would be more happy.
온 가족이 축하 파티를 위해 여기 온다면, 난 더 행복할 텐데. 실제로는 온 가족이 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오면 좋겠다는 말이에요.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내가 새라면 너에게 날아갈 수 있을 텐데. 내가 새가 아니기 때문에 너에게 갈 수 없다는 유감을 나타내요.
주) be동사는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에서 주어의 인칭/수에 관계없이 무조건 were를 써요. 시험에 잘 나올 수 있으니 확실히 알아두세요.
3. 가정법 과거완료
a. 내용: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상상. 이루어질 수 없는 비현실성이에요.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had p.p. ~, [귀결절] 주어 + would (could, should, might 등 조동사의 과거) + have p.p.
c. 해석: (사실은 그렇지 않았지만) "~했다면 (이었다면) ~했을 (였을) 텐데" 과거로 해석해요.
d. 예문:
If I had graduated from harvard University, I would have been working for the consulting company. 내가 하버드 대학을 졸업했다면,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을 텐데.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기 때문에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지 못했다는 의미예요.
= As I did not graduate from harvard university, I was not working for the consulting company.
If I had not gripped your hand, you might have fallen over the precipice.
내가 너의 손을 잡지 않았더라면, 넌 낭떠러지로 굴러 떨어졌을 텐데.
= As I gripped your hand, you did not fall over the precipice.
4. 가정법 미래
a. 내용: 현재나 미래에 대한 강한 의심을 나타내요 (가능성이 희박해요). 즉, 현재나 미래에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어서 의심이 강하게 들지만 그래도 어떠한 일이 발생한다고 가정해 보는 거예요.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 should +동사원형 (현재/미래에 대한 희박한 가능성. 미래에 대한 강한 의심)
[조건절] If+ 주어+ were to +동사원형 (불가능한 일)
[조건절] If+ 주어+ would +동사원형 (주어의 강한 의지: ~하고 싶으면)
[귀결절] 주어 + would (could, should, might, will, can 등 조동사) + 동사 원형
c. 해석: (그럴리는 없지만 혹시) ~한다면, ~할 것이다.
d. 예문:
If you should fail to keep your word, I would stay away from you.
네가 만일 약속을 지키지 않는 다면, 난 널 멀리할 거야. (약속을 지키겠지만 혹시라도 안 지킨다면 - 약속을 안 지킬 가능성이 희박해요)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n't marry you for the world.
내가 다시 태어난다면, 너랑은 절대 결혼하지 않을 거야. 다시 태어나는 일은 있을 수도 없으니 너랑 결혼하는 일도 없겠지요. 이처럼 조건절에 were to를 쓰면 불가능한 일을 나타내요.
cf. 이처럼 가정법 미래에서 if절에 should (희박한 가능성)를 쓰는 것보다 were to (가능성이 아주 희박 또는 불가능한 일)를 쓰는 것이 가정의 정도가 더 강해요.
If you would succeed, you would have to do your best in everything.
네가 성공하고 싶다면, 넌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거야.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법 주의사항 - as if 가정법과 중요한 표현들 (31) | 2024.07.02 |
---|---|
영문법 심화 혼합 가정법과 I wish 가정법 완벽 정리 (0) | 2024.07.01 |
기초영어 형용사 완벽 이해 - 개념과 사용법 (0) | 2024.07.01 |
기초영문법, 관계대명사의 정의와 다양한 종류 (31) | 2024.06.30 |
관계대명사 : 계속적 용법 vs 제한적 용법 - 차이점과 활용법 (0)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