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란 동사의 형태를 변화시켜, 동작이나 상태가 언제 일어난 일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거예요. 12시제라고 해서 12가지 종류가 있다고 배웠죠?

오늘은 12시제 중에서 현재 시제와 현재시제(simple present) 진행형에 대해 알아볼게요.

현재시제는 동사의 현재형을 쓰는데, 바로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보다는 현재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일, 정기적으로 사실인 일을 나타낼 때 써요. 바로 지금 진행 중인 일을 나타낼 때는 현재형이 아닌 현재진행형을 쓰죠.

주) 동사의 현재형
- Be동사: 인칭에 따라 변하는 be동사 현재형
- 일반동사: 동사원형을 쓰는데, 3인칭 단수일 경우만 '(e) s'를 붙여줘요. have 동사의 경우는 3인칭 단수에는 'has'를 써요.

1. 현재 시제

아래 예문을 통해 구체적으로 현재 시제를 어떤 경우에 쓰는지 알아볼까요?

1-1) All the hotels in Ilsan city are full because of the exhibition today. (현재의 상태)
오늘 일산의 모든 호텔은 전시회 때문에 만원이에요. (모든 호텔의 예약이 다 차있는 현재의 상태를 말하고자 할 때 현재시제를 써요)

1-2) I get up at 6 every morning. (일상의 반복적인 습관)
난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요.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매일 반복해서 통상적으로 6시에 일어난다는 반복적인 습관을 나타낼 때 써요)

1-3) The moon goes round the earth (불변의 진리)
달은 지구 주위를 돌아요. (달이 지구 둘레를 돈다는 불변의 진리를 나타내고자 할 때 써요. The moon went round the earth라고 과거형을 쓸 수 없어요)

1-4) David is my friend. He has a good sense of humor. (지속적인 성질/상태)
데이비드는 내 친구예요. 그는 유머감각이 좋아요. (데이비드가 어제는 내 친구고 오늘은 내 친구가 아닌 게 아니잖아요. 데이비드는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지속적으로 내 친구라는 사실을 말하고 싶을 때 현재시제를 써요. 만일, David was my friend.라고 과거형을 쓰면, 지속적인 상태가 아닌, 과거에는 친구였지만 현재는 친구가 아니다라는 의미가 되어버려요.)

1-5) Let's wait until my mom comes. (시간의 부사절에 미래시제 대신해서 써요)
엄마 올 때까지 기다리자. (until이 이끄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의 경우, 미래형인 until my mom will come을 쓰는 게 아니라 현재시제를 쓰고 현재시제가 미래의 의미를 대신해요.)

I will stay at home all day long if it rains tomorrow (조건의 부사절에서 미래시제 대신해서 써요)
내일 비가 오면 난 하루 종일 집에 있을 거예요 (if 이하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 미래시제 대신 현재 시제를 써요. 즉, if it will rain은 틀려요. 주의하세요)

5번은 난이도가 있으니 완전기초 영문법에서는 몰라도 돼요. 나중에 기본 영문법에서 다시 자세하게 배울 거예요.

2. 현재진행형

현재진행형은 'be동사 +동사원형-ing'의 형태로 만드는데, 현재 시점에서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낼 때 써요. 과거 시점을 기준으로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낼 때는 과거진행형, 미래의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낼 때는 미래진행형이 되죠.

2- 1) 현재진행형 형태 : be동사 +동사원형-ing
* be동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변하는 거 잊지 않았겠죠?

- I am reading a book.
- He / She /It is working
- We / You / They are studying

2- 2) 동사원형-ing 만드는 법

a. 대부분의 동사는 동사원형 +ing : look - looking
b. [단모음 + 단자음]일 경우, 마지막 자음을 한번 더 쓰고 ing.: run -- running
c. 끝이 -e로 끝나는 동사는 e를 빼고 -ing: take -- taking
d. 끝이 -ie로 끝나는 동사는 ie를 y로 바꾸고 +ing: lie -- lying, tie -- tying

2- 3) 예문
- I am washing the dishes. 나는 설거지를 하고 있는 중이에요.
- He is studying English. 그는 영어 공부 중이에요.

3. 현재진행형 부정문/의문문 만들기

3-1. 부정문
be동사 바로 뒤에 not을 붙여요.

a. I am listening to music. - I'm not listening to music.
b. He's not reading a newspaper.

3-1 2. 의문문
의문사 (what, why 등)가 없을 경우 주어와 be동사의 위치를 바꿔요.
의문사가 있을 경우는 주어와 be동사 위치를 바꾸고, 의문사를 맨 앞에 붙여요.

a. You're playing baseball. - Are you playing baseball?
b. Ann is doing her homework - Is Ann doing a homework?
Yes, she is. 또는 No, she isn't로 대답할 수 있어요.

c. What are you doing? - I'm studying.
Where is she going? - She's going to the zoo.

[진행형을 쓰지 않는 동사]
동작이 아니라 일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 (have, like, love, know, want 등)는 진행형으로 쓰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a. I have a dog. 나는 개를 가지고 있어요. I am having a dog (X)
b. She knows the truth. 그녀는 진실을 알고 있어요. She is knowing the truth (X)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조동사 may란]

1) 허가의 뜻

may는 "~해도 좋아. ~해도 돼"라는 허가의 뜻으로 쓰여요. 이경우 조동사 can으로 대체해서 써도 된다고 지난 시간에 배웠죠.

May (=Can) I use your cell phone? (당신의 핸드폰 좀 써도 되나요?)

거절은 당연히 may 뒤에 not을 넣어서, You may not이라고 하면 돼요.
만약에 절대로 안된다고 강조해서 이야기할 때는 may보다는 must를 써서 No, you must not이라고 대답해야 해요.

May I have the cake? 케이크 먹어도 돼요?
No, you may not. 아니, 먹으면 안 돼.
No, you must not. 아니, 절대 안 돼.

이제 뉘앙스 차이가 이해되죠?

2) 추측의 뜻

may는 허가의 뜻 다음으로 "~일지도 모른다"라는 추측의 뜻으로도 쓰여요.

She may be angry if I call her late at night.
(밤늦게 전화 걸면 그녀는 화를 낼지도 몰라)

She may be right.
(그녀가 옳을 지도 몰라)

He may not come back tomorrow.
(그는 내일 안 돌아올지도 몰라)

3) 기원의 뜻 May

부디 성공하길! 을 영어로 말하면 "May you succeed!"로 ~하기를, ~하소서 등의 기원문에 조동사 may 써서 표현해요.
May you live long! (만수무강하소서!, 부디 오래 사시길!)

4) may의 과거형 might

a. might는 조동사 may의 과거형으로 시제 일치를 위해 쓰여요.

He said that he might go to Seoul. (그는 서울에 갈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 두 문장을 분리시키면, He said, "I may go to seoul" 이 돼요 (직접화법). 이를 한 문장으로 합치면(간접화법), 뒷 문장이 시제의 일치 영향을 받아서, 즉, said가 과거이니 that 이하 동사 시제도 과거로 맞추어 주는 거예요. 이렇게 주절과 종속절의 동사의 시제를 같게 해주는 것을 "시제의 일치"라고 불러요.

b. might는 희박한 가능성에 쓰여요.

I may get married to Cindy 하면 "씬디하고 결혼할지도 모른다"로 씬디하고 결혼할 가능성이 조금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이에요. 그러나 I might get married to Cindy처럼, may 대신에 might를 쓰면, 신디와 결혼할 가능성의 거의 없는 경우예요. 즉, 내가 결혼하려고 하는 줄리가 고무신을 거꾸로 신지 않는 한, 씬디하고 결혼할 일은 없다는 의미예요.

[조동사 Must란]

1) 의무의 뜻 must

must의 대표적인 뜻은 "~해야 해, 해야 한다"로 의무 또는 필요를 나타내는 뜻으로 쓰여요.
이경우 must 대신 "have to"를 쓸 수 있어요.

의무를 나타낼 경우 must 대신 뭘 쓸 수 있다고요? have to라고 했죠. 시험에 나올 수 있으니 잘 기억해 두세요.

You must finish your homework (너는 숙제를 끝내야만 한다)
= You have to finish your homework.

You must leave now. (너 지금 떠나야 해)
= You have to leave now.

Tom had to take the first train. (탐은 첫 번째 기차를 타야 했다)
주) 과거의 의무를 나타낼 때는 have to의 과거형인 had to를 써요. must는 과거형이 없기 때문에.

You must not go near the water. It's dangerous. (넌 물 가까이 가서는 안돼. 위험해)
(강한 금지의 의미)
Tomorrow is Sunday. I don't have to get up early. (내일은 일요일. 난 일찍 일어날 필요가 없어.)

주) must와 have to의 부정은 뜻이 다르므로 유의해야 해요.
must not ~해서는 안된다. (강한 금지의 의미) don't have to ~할 필요가 없다.

Must I wear the uniform? = Do I have to wear the uniform? (유니폼을 입어야 하나요?)
Yes, you must (긍정의 대답)
No, you don't have to (부정의 대답) [No, you must not이 아님에 주의]

2) 강한 추측 뜻

must가 추측의 의미로 쓰일 때는 "~인 게 틀림없다. 확실하다"의 뜻으로 강한 확신이 담긴 추측을 나타내요.

A: Merry hasn't spoken to me for a week (메리는 일주일 동안 내게 말을 하지 않았어)
B: She must be angry with you (그녀가 너한테 화난 게 틀림없어)

A: Did you hear that? Mark likes me! (너 그거 들었어? 마크가 나를 좋아한대!)
B: What? It can't be true. (뭐라고? 그럴 리가 없어)
주) 추측을 나타낼 때 must의 부정은 must not이 아니라 'cannot'이에요.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

이번 시간은 법 중에서 명령법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게요.
명령법에는 직접명령, 간접명령, 조건명령, 양보명령 이렇게 4가지 종류가 있어요.

기초에서는 직접명력 와 간접명령 정도만 알고 넘어가도 돼요.

1. 직접명령-동사 원형 (주어 생략)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2인칭( You )에 대한 명령이에요.
직접 명령은 "뭐뭐 해라"로 해석되는데, 바로 앞에 있는 상대방에게 무엇을 해달라고 명령조로 말할 때 써요.
명령법의 형태는 지난 시간에도 언급했듯이 주어 없이 바로 동사가 나와요. 그것도 '동사원형'이 나오죠. 주어인 You는 말하지 않아도 아는 것이니까요.


명령문의 부정문은 동사 앞에 "Don't (=do not), never"를 붙여서 만들어요.

Have a nice trip! 즐거운 여행되세요.
Be quite! 조용히 해! - 좀 더 공손하게 표현하려면 뒤에 부가의문문을 붙여, Be quite, will you? (조용히 해줄래)로 표현할 수 있어요. (부가의문문은 중급에서 언급될 예정인데 이런 것이 있다는 정도만 알아두세요)
Never do that again! 다신 그런 짓하지 말아라.

2. 간접명령-let + 목적어(o) + 동사원형~

1인칭과 3인칭에 대한 명령이에요.

Let me do this for you. 널 위해 내가 이걸 할게 (직역: 내버려 두세요. 내가 널 위해 이것을 하도록) (1인칭에 대한 명령)
* let: 목적어가 무엇 무엇하게 내버려 두다, 무엇 무엇하게 해 달라로 해석.
생략된 you를 살리면 You let me do this for you가 돼요. 즉, 넌 내가 ~하도록 내버려 두어라. - "내가 ~을 할게"로 의역하시면 돼요.
그리고 let이 있으면 간접명령이구나라고 이해하시면 돼요.

Let her go! 그녈을 보내줘! (직역: 너 그녀가 가도록 내버려 둬)
Don't let her go! 그녈 보내주지 마! 부정문을 만들려면 앞에 don't/do not 또는 never를 써주면 돼요.

주) let's는 let us의 줄임말로 "~합시다"라는 제안의 뜻을 나타내요.
Let's go! 갑시다.
그런데 Let us go!처럼 풀어쓰면, "우리를 보내 줘!"라는 뜻으로 전혀 다른 뜻이 돼요.

3. 조건부 명령문의 활용

1) 명령문 ~ , and 주어 + 동사....
"~ 하라, 그러면 ~할 (일) 것이다"로 해석.

Work very hard, and you will succeed.
열심히 일하라, 그러면 넌 성공할 것이다.

2) 명령문 ~, or 주어 + 동사...
" ~하라, 그렇지 않으면 ~할 (일) 것이다"로 해석.

Work very hard, or you will fail.
열심히 일하라, 그렇지 않으면 넌 실패할 거야.

이처럼 and가 들어가냐 or가 들어가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져요.

4. 양보 명령문 사용법
형태는 명령문 형태이지만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로 "아무리 ~일지라도"로 해석되면 아래와 같은 형태가 있어요. 예문을 아예 외워 버리세요.

1) 동사원형 + as + 주어 + may (will), 주어 + 동사
= However + 형용사(부사) + 주어 + may (will) +동사, 주어 + 동사

Try as you may, you cannot do so much work in a day or two.
아무리 네가 노력한다 할지라도, 그렇게 많은 일을 하루 이틀에 할 순 없어
= However hard you may try, you cannot do so much work in a day or two.

2) 동사 원형 + what + 주어 + may = Whatever +주어 + may + 동사원형

Say what you may, no one will believe your words. (네가 무슨 말을 한다 할지라도, 아무도 네 말을 믿지 않을 거야)
= Whatever you may say, ~

3) Be + 주어 + ever so + 형용사 = However + 형용사(부사) + 주어 + may +동사

Be it ever so humble and worthless, there is nothing like home. (아무리 누추하고 초라해도, 집과 같은 곳은 없지요)
= However humble and worthless it may be, ~

기초에서는 직접명령과 간접명령 법만 기억하고 넘어가시면 돼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

오늘은 가정법 중 주의해야 할 가정법들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살펴볼 내용으로는 기초를 넘어서는 중급 영문법에 해당하는 내용인데 기초를 다지시는 분들은 그냥 넘어가시고 나중에 중급 영문법 때 내용을 다시 살펴보시면 될 것 같아요.

1. as if + 가정법

as if 다음에 가정법 과거 또는 과거 완료를 쓰면, 현재나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을 가정하는 거예요. 즉, "그렇지 않은데 그런 척한다"는 의미예요.

a. as if +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말할 때 써요. "마치 ~인 (하는) 것처럼"

He talks as if he knew everything. 그는 마치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말해요.
= In fact, he does not know everything.

b. as if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말할 때 써요. "마치 ~이었던 (했던) 것처럼

They talked as if they had visited Paris. 그들은 파리를 방문했던 것처럼 말했어요.
= In fact, they hadn't visited Paris.

주) 'as if + 가정법과거완료'는 과거사실과 반대라고 하셨으니 위 예문에서 In fact, they didn't visit Paris처럼 과거 시제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닌지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이에요.

주절의 동사가 현재인지 과거인지를 우선 봐야 해요.
'현재시제 (talk) + 가정법과거완료' 이면, 즉, They talk as if they had visited Paris라면, 현재에 있어서 과거의 일을 비교하기 때문에 In fact, they didn't visit Paris가 맞아요.

그러나 위 예에서처럼 '과거시제 (talked) + 가정법과거완료'이면, 과거에 있어서 그 이전의 일을 비교하기 때문에, In fact, they hadn't visited Paris와 같이 과거완료시제가 오는 것이 맞아요.

이해를 돕기 위한 아래 관련 예를 참조!

She looked as if she had been ill. (과거시제 + 가정법과거완료)
= In fact, she had not been ill. (과거완료시제)
She looks as if she had been ill. (현재시제 + 가정법과거완료)
= In fact, she was not ill. (과거시제)


cf. as if 다음에 가정법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말하는 사람(화자)이 as if 다음의 내용이 실제로 그런지 아닌지 모르는 상태에서 하는 말이에요.


The man behaves as if he is a politician. (Perhaps he is a politician)
그 남자는 정치인 같이 행동해요. (실제로 그가 정치인인지 아닌지 말하는 사람은 모르고 있어요)


연습으로 아래 문장 비교해 보세요.

She looks as if/as though she is rich. (Perhaps she is rich)
She looks as if/as though she were rich. (She is not rich).
*informal 한 경우 were대신 그냥 과거 시제 was를 쓰기도 해요.

She spends money as if she were a millionairess.
그녀는 마치 백만장자인 것처럼 돈을 써요.

2. It's time + 가정법 과거

It's time 다음에 가정법 과거가 오면, "이제 ~해야 할 시간이다"라는 의미로 "진작 그렇게 했어야 하는데 하고 있지 않다"는 유감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주로 나무라거나 불평할 때 써요.

It's time you went home. It's too late. 너 집에 가야 할 시간이야. 너무 늦었어. 이미 집에 갔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가지 않고 있다는 느낌을 표현해요.
We've been waiting half an hour. It's about (high) time they served us.
우린 지금 30분째 기다리고 있어. 이젠 정말 음식이 나와야 할 때야 (그들이 음식을 차려주어야 할). "이제는 정말 ~할 때이다"라고 강조해서 말하고 싶을 때 "It's about or high time ~"을 쓰기도 해요.

cf. It's time to have some fun. The weather is fantastic!. 놀 시간이다. 날씨가 환상적이군!
It's time 다음에 가정법 과거가 아닌 to 부정사가 나오는 경우도 많은데, 이때는 유감을 나타내는 어감은 없고 단지 "~할 때이다"라는 의미만 있어요.

3. if it were not for ~, If it had not been for ~

a. if it were not for ~ "(현재) ~이 없다면"이라는 의미로 without, but for로 바꾸어 쓸 수 있어요.
= If it were not for the sun, nothing could live on earth.
(태양이 없다면, 지구상에 있는 어떤 것도 살 수 없을 거예요.)
= Without the sun, nothing could live on earth.
= But for the sun, nothing could live on earth.

b. if it had not been for ~ "(과거에) ~이 없었더라면"이라는 의미로 without, but for로 바꾸어 쓸 수 있어요.
=If it had not been for him, we would have lost the game.
(그가 없었더라면, 우린 그 경기에서 졌을 거예요.)
= Without him, we would have lost the game.
= But for him, we would have lost the game.

4. if의 생략, if절 없는 가정법

접속사 if를 생략하거나, if절 대신 다른 표현을 이용하여 가정법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어요.

A. 접속사 if의 생략

if 절의 동사가 were, had, should인 경우 접속사 if를 생략할 수 있어요. 이때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뀌게 돼요.

Were my mom a cook, I could eat all kinds of delicious food. 내 엄마가 요리사라면, 난 온갖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을 텐데.
= If my mom were a cook, I could ~
Had it not been for the accident, she would have become a great athlete.
그 사고가 아니었더라면, 그녀는 훌륭한 운동선수가 되었을 텐데.
= If it had not been for the accident, ~
Should you need anything, please call me.
= If you should need anything, ~

B. if 절을 대신하는 말들

b-1. 부정사(구)가 조건절을 대신하는 경우
It would be fun to chat with you online. 너와 온라인으로 채팅하면 재미있을 텐데.
= It would be fun if I chatted with you online.
b-2. 분사구문이 조건절을 대신하는 경우
Born in better times, he could have become a great composer.
더 나은 시대에 태어났더라면, 그는 위대한 작곡가가 될 수 있었을 텐데.
= If he had been born in better times, he could ~
b-3. 주어가 조건절을 대신하는 경우
An American would not use that word.
미국 사람이라면 그 단어를 사용하지 않을 텐데.
= If he/she were an American, ~
b-4. 부사구가 조건절을 대신하는 경우
With a little more time, I could have completed the job.
시간이 조금 더 있었다면, 나는 그 일을 마칠 수 있었을 텐데.
= If I had had a little more time, I could have ~

C. if 절이 없는 가정법
if 절 없이 주절만으로도 가정법 문장을 쓸 수 있어요.

c-1. Fortunately, she was not seriously injured. It could have been worse.
운 좋게도 그녀는 심하게 다치지 않았어요. 상황은 더 나쁠 수도 있었는데.
- could have p.p. = ~할 수도 있었는데 (그러지 않았어요)

c-2. We would have arrived sooner, but the traffic was horrible.
우리는 좀 더 일찍 도착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러나 교통이 너무 혼잡했어요.
- would have p.p. = ~했을 텐데 (그러지 않았어요. 못했어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지난 시간에 가정법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에 대해 살펴봤었죠? 오늘은 혼합가정법과 I wish + 가정법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1. 혼합가정법

a.. 내용 : 조건절과 귀결절의 시제가 서로 달라요.
b. 예 :
1) If he had taken the doctor's advice, he would be fine now.

조건절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의 반대예요.
귀결절 :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의 반대예요.
해석 : 그가 의사의 충고를 들었더라면 (사실은 듣지 않았어요) 지금 괜찮을 텐데 (현재 괜찮지 않아요).
그가 의사의 충고를 듣지 않은 것은 과거의 일이에요. 몸이 괜찮지 않은 것은 현재의 일이고요.

2) If you had not been born, my life would be meaningless.
- 해석 : 네가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내 삶은 무의미할 텐데.
- 태어난 일은 과거예요. 내 삶이 의미 있는 것은 현재고요.

2. I wish + 가정법
현재 이루기 힘든 소망이나 과거 일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요.

1) I wish I could see him more often.
= I'm sorry I can't see him more often

해석 : 그를 좀 더 자주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자주 보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에요)
[I wish + 가정법과거]는 현재 그렇지 못한 것을 유감스러워하거나 실현 불가능한 소망을 나타내요. 따라서, " ~라면 좋으련만"이라고 해석해요.

2) I wish I hadn't drunk so much last night.
= I'm sorry I drank so much last night

해석 : 어젯밤에 술을 너무 많이 마시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I wish +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일에 대한 유감이나 아쉬움을 나타내요.
따라서 "~했더라면 좋으련만"으로 해석해요.

3) I wish she were here now. = I'm sorry she isn't here now.

이처럼 I wish 다음 절에 가정법을 쓰게 되면 실현 불가능한 것을 소망하는 의미이기 때문에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해요.
예를 들어, 병원에 문병 가서 환자에게 I wish you would get better soon.이라고 말하면 환자가 화를 낼 거예요. 왜냐면, "그럴 가능성은 없지만 네가 낫기를 바라"라고 말한 것이 돼버리기 때문이죠.
이때는 I wish 보다는 I hope you will get better soon으로 'I hope'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맞아요.

이번엔 가정법 중에 가정법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의 형태와 용법에 대해 살펴볼게요.

1. 가정법 현재

a. 내용: 현재 또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뭔가 확실하지 않을 때 써요.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동사의 현재형 (원형) ~, [귀결절] 주어 + will (shall, can, may) 또는 동사의 현재형
c. 해석: (확실치는 않지만) 만일 ~한다면, ~할 것이다 (할 텐데).
d. 예문:

If he is qualified for the job, I will give him a chance. 그가 그 일에 적합하다면, 그에게 기회를 줄 거야. 즉, 그가 그 일에 적합할지 않을지 불확실해요.

주) 가정법 현재의 조건절에는 원래 동사 원형을 써주어야 하지만 현대영어에서는 동사의 현재형을 써주어도 돼요.
따라서, If he be qualified for the job, I will give him a chance라고 쓴 것도 가정법 현재 문장이에요.

If It rains (or rain) tomorrow, I will not go out for a walk.

* 조건절이 뭔지 모르는 분을 위해: if로 시작하는 문장이 조건절이에요. 그리고 그다음에 나오는 문장이 귀결절이고요.

2. 가정법 과거

a. 내용: 현재 사실과 반대로 가정 (이루어질 수 없는 비현실성)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동사의 과거형 ~, [귀결절] 주어 + would (could, should, might 등 조동사의 과거) ~
c. 해석: (사실은 그렇지 않지만) ~한다면, ~할(일)텐데. 현재로 해석해요.
d. 예문:

If the whole family came here for the celebration party, I would be more happy.
온 가족이 축하 파티를 위해 여기 온다면, 난 더 행복할 텐데. 실제로는 온 가족이 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오면 좋겠다는 말이에요.


If I were a bird, I could fly to you.
내가 새라면 너에게 날아갈 수 있을 텐데. 내가 새가 아니기 때문에 너에게 갈 수 없다는 유감을 나타내요.
주) be동사는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에서 주어의 인칭/수에 관계없이 무조건 were를 써요. 시험에 잘 나올 수 있으니 확실히 알아두세요.


3. 가정법 과거완료


a. 내용: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상상. 이루어질 수 없는 비현실성이에요.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had p.p. ~, [귀결절] 주어 + would (could, should, might 등 조동사의 과거) + have p.p.
c. 해석: (사실은 그렇지 않았지만) "~했다면 (이었다면) ~했을 (였을) 텐데" 과거로 해석해요.
d. 예문:

If I had graduated from harvard University, I would have been working for the consulting company. 내가 하버드 대학을 졸업했다면,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을 텐데.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기 때문에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지 못했다는 의미예요.
= As I did not graduate from harvard university, I was not working for the consulting company.


If I had not gripped your hand, you might have fallen over the precipice.
내가 너의 손을 잡지 않았더라면, 넌 낭떠러지로 굴러 떨어졌을 텐데.
= As I gripped your hand, you did not fall over the precipice.

4. 가정법 미래

a. 내용: 현재나 미래에 대한 강한 의심을 나타내요 (가능성이 희박해요). 즉, 현재나 미래에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어서 의심이 강하게 들지만 그래도 어떠한 일이 발생한다고 가정해 보는 거예요.
b. 형식: [조건절] If+ 주어+ * should +동사원형 (현재/미래에 대한 희박한 가능성. 미래에 대한 강한 의심)


[조건절] If+ 주어+ were to +동사원형 (불가능한 일)
[조건절] If+ 주어+ would +동사원형 (주어의 강한 의지: ~하고 싶으면)
[귀결절] 주어 + would (could, should, might, will, can 등 조동사) + 동사 원형


c. 해석: (그럴리는 없지만 혹시) ~한다면, ~할 것이다.
d. 예문:

If you should fail to keep your word, I would stay away from you.
네가 만일 약속을 지키지 않는 다면, 난 널 멀리할 거야. (약속을 지키겠지만 혹시라도 안 지킨다면 - 약속을 안 지킬 가능성이 희박해요)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n't marry you for the world.
내가 다시 태어난다면, 너랑은 절대 결혼하지 않을 거야. 다시 태어나는 일은 있을 수도 없으니 너랑 결혼하는 일도 없겠지요. 이처럼 조건절에 were to를 쓰면 불가능한 일을 나타내요.

cf. 이처럼 가정법 미래에서 if절에 should (희박한 가능성)를 쓰는 것보다 were to (가능성이 아주 희박 또는 불가능한 일)를 쓰는 것이 가정의 정도가 더 강해요.

If you would succeed, you would have to do your best in everything.
네가 성공하고 싶다면, 넌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거야.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

8품사 기억나시나요? 영어의 단어를 그 특성에 따라 8종류로 분류해 놓은 거예요. 영어문법이란 건 이 8가지 종류의 영어단어들을 규칙에 맞게 제위치에 끼워 넣거나 변형하는 거랍니다.
8품사 중에 형용사와 부사는 대표적인 수식어(다른 말을 꾸며 주는 역할을 하는 말)인데, 오늘은 형용사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1. 형용사 (Adjective)의 개념

형용사는 명사의 모양, 성질, 상태 등을 설명해 주는 말로 명사 앞에 놓여 명사를 꾸며 주거나 (형용사의 수식용법) 보어로서 명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충설명하거나 서술 (형용사의 서술용법)하는 두 가지 용법이 있어요.

2. 형용사 용법

a. 수식 용법

a dog (개) - an ugly dog (못생긴 개)
a girl (소녀) - a pretty girl (예쁜 소녀)
이와 같이 대부분 명사 앞에서 명사를 수식해 줘요.


그러나 수식을 받는 명사가 something, someone, somebody와 같이 -thing,-one,-body로 끝나는 말일 경우 뒤에서 꾸며줍니다.


Something good. (좋은 어떤 것)
We need somebody (someone) younger to do the job. 그 일을 하려면 더 젊은 사람이 필요해요.


Someone else (다른 누군가)
또한 '충분한'이란 뜻을 가진 형용사 'Enough'는 명사 앞뿐만 아니라 뒤에서도 명사를 수식해 줘요. 이경우 명사 앞에서 수식할 경우 뜻이 강해요.


There's money enough to buy a house. 집을 사기에 충분한 돈이 있어요.
We have enough water. 물은 충분히 있어요.

b. 서술 용법

주어나 목적어 자리에 오는 명사를 보충 설명해 주는 보어 역할을 해요.

The car is expensive. 그 자동차는 비싸요. 형용사 expensive가 주어인 car를 보충 설명 (car = expensive).
I will make you famous. 나는 널 유명하게 만들 거야. 형용사 famous는 목적어 you를 보충설명 (you = famous).

3. 형용사의 종류와 형태

a. 종류

a. 성질, 상태 등을 나타내는 형용사: good, nice, happy, cold, important
b. 수나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 many, much, some, any, few, little
c. 형용사로 쓰이는 대명사: this, these, that, those, my, your

b. 형태

명사에 -y, -ful, -less, -ous, -ish, -ly가 붙은 경우 형용사인 경우가 많아요.

sleepy, lucky
beautiful, hopeful
careless, useless
dangerous, famous
foolish, childish
lovely, friendly

4. 수와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

** 뒤에 나오는 명사 셀 수 있는냐 없느냐에 따라 다른 종류의 형용사를 써요.
시험에 자주 출제 되는 내용이니 확실히 알아 두셔야 해요.

1) '많다'라는 뜻의 형용사 many와 much

many + 셀수 있는 명사 (many friends)
much + 셀수 없는 명사 (much money)

2) '적다 (약간의)'라는 뜻의 형용사 a few와 a little

a few + 셀수 있는 명사 ( a few friends )
a little + 셀수 없는 명사 ( a little money )


주) a 없이 few, little이 단독으로 쓰인 경우, '거의 ~없는'이라는 부정의 의미
I have little money. 난 돈이 거의 없어요.

3)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 모두에 쓰이는 형용사

a. '많은'이란 의미의 a lot of (=lots of)는 셀 수 있는 명사/셀 수 없는 명사 모두에게 쓰여요.
I have lots of money.
I have lots of friends.


b. someany


'약간'이란 의미로,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에 모두 쓰이는데, some은 긍정문에 any는 부정문과 의문문에 쓰여요.
I ate some eggs (or some milk) this morning.
난 오늘 아침 계란 몇 개를 (약간의 우유를) 먹었어요.


I didn't eat any apples (or any milk).
난 사과 (또는 우유)를 조금도 먹지 않았어요.


Is there any milk on the table?

탁자 위에 우유 좀 있어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

이번엔 많은 학생들이 골치 아파하는 문법 중 하나인 관계대명사에 대해 파헤쳐 볼게요.
이런 두 문장이 있다고 해볼까요?

I have a friend. The friend lives in Seoul.
(난 친구가 한 명 있어요.) (그 친구는 서울에 살아요.)

이렇게 천천히 말하면 이해하는 데 문제없죠? 글로 쓸 때도 별 문제없어 보이고요.
하지만 말로 할 때는 이런 연관된 두 문장을 따로따로 말하기보다는 연결해서 말하는 게 시간도 절약되고 더 자연스러워요. 바로 여기서 관계대명사가 필요해지는 거죠.

이 두 문장이 연관되어 있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바로 'friend'라는 단어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에요.
영어에서는 반복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반복되는 단어는 다른 걸로 바꾸려고 하죠. (인칭대명사 생각나시나요? Tom이 나왔다면, 그다음엔 'he'로 바꾸잖아요.)

여기서 앞 문장의 'a friend'를 선행사라고 불러요. 그리고 뒤 문장에서 반복된 'the friend'는 관계대명사 'who'로 바꿔요. 왜냐고요? 선행사가 사람일 때는 'who'를 쓰기로 약속했거든요.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Seoul.

그리고 'who'가 이끄는 관계대명사절을 선행사 바로 뒤에 가져다 놓아요. 이래야 무엇을 수식하는지 확실해지니까요.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Seoul.
(나는 서울에 사는 친구 한 명이 있어요.)

이렇게 연관된 두 문장을 'who'라는 관계대명사로 하나로 만들었어요. 여기서 'who'가 이끄는 절은 'friend'를 꾸며주는 형용사절이 되는 거죠.

어때요? 훨씬 간결하고 세련된 느낌이 들지 않나요?
이처럼 관계대명사는 내용상 관계있는 두 문장을 연결할 때 반복되는 단어를 대신해서 쓴 명사예요.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라고도 할 수 있어요. 두 문장을 잇는 접속사 역할과, 반복 단어를 대신하는 대명사 역할을 동시에 하거든요.

그럼 관계대명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오는 선행사, 즉 반복되는 단어가 뭐냐에 따라 종류가 결정돼요.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를 써요.
선행사가 사물이나 동물이면 'which'를 써요.
'that'은 사람, 사물, 동물 어느 경우에도 다 쓸 수 있어요.

한번 예를 들어볼까요?
I read the book. The book was telling about baby's intelligence.
(난 그 책을 읽었어요.) (그 책은 아기의 지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어요.)

먼저, 반복되는 말을 찾아요. 'book'이 반복되죠?
뒤 문장의 'the book'을 관계대명사로 바꿔요.
어떤 걸로 바꿀 수 있을까요? 선행사인 'the book'은 사물이니, 'which'나 'that'을 쓸 수 있어요.

사물은 주로 'which'를 쓰니까 여기선 'which'로 해볼게요.
I read the book. Which was telling about baby's intelligence.

마지막으로 'which'가 이끄는 관계절을 선행사인 'the book' 바로 뒤에 가져가요.
I read the book which (that) was telling about baby's intelligence.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로 한 문장으로 만드는 거 생각보다 쉽죠? 다음 편도 기대해 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