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may란]
1) 허가의 뜻
may는 "~해도 좋아. ~해도 돼"라는 허가의 뜻으로 쓰여요. 이경우 조동사 can으로 대체해서 써도 된다고 지난 시간에 배웠죠.
May (=Can) I use your cell phone? (당신의 핸드폰 좀 써도 되나요?)
거절은 당연히 may 뒤에 not을 넣어서, You may not이라고 하면 돼요.
만약에 절대로 안된다고 강조해서 이야기할 때는 may보다는 must를 써서 No, you must not이라고 대답해야 해요.
May I have the cake? 케이크 먹어도 돼요?
No, you may not. 아니, 먹으면 안 돼.
No, you must not. 아니, 절대 안 돼.
이제 뉘앙스 차이가 이해되죠?
2) 추측의 뜻
may는 허가의 뜻 다음으로 "~일지도 모른다"라는 추측의 뜻으로도 쓰여요.
She may be angry if I call her late at night.
(밤늦게 전화 걸면 그녀는 화를 낼지도 몰라)
She may be right.
(그녀가 옳을 지도 몰라)
He may not come back tomorrow.
(그는 내일 안 돌아올지도 몰라)
3) 기원의 뜻 May
부디 성공하길! 을 영어로 말하면 "May you succeed!"로 ~하기를, ~하소서 등의 기원문에 조동사 may 써서 표현해요.
May you live long! (만수무강하소서!, 부디 오래 사시길!)
4) may의 과거형 might
a. might는 조동사 may의 과거형으로 시제 일치를 위해 쓰여요.
He said that he might go to Seoul. (그는 서울에 갈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 두 문장을 분리시키면, He said, "I may go to seoul" 이 돼요 (직접화법). 이를 한 문장으로 합치면(간접화법), 뒷 문장이 시제의 일치 영향을 받아서, 즉, said가 과거이니 that 이하 동사 시제도 과거로 맞추어 주는 거예요. 이렇게 주절과 종속절의 동사의 시제를 같게 해주는 것을 "시제의 일치"라고 불러요.
b. might는 희박한 가능성에 쓰여요.
I may get married to Cindy 하면 "씬디하고 결혼할지도 모른다"로 씬디하고 결혼할 가능성이 조금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이에요. 그러나 I might get married to Cindy처럼, may 대신에 might를 쓰면, 신디와 결혼할 가능성의 거의 없는 경우예요. 즉, 내가 결혼하려고 하는 줄리가 고무신을 거꾸로 신지 않는 한, 씬디하고 결혼할 일은 없다는 의미예요.
[조동사 Must란]
1) 의무의 뜻 must
must의 대표적인 뜻은 "~해야 해, 해야 한다"로 의무 또는 필요를 나타내는 뜻으로 쓰여요.
이경우 must 대신 "have to"를 쓸 수 있어요.
의무를 나타낼 경우 must 대신 뭘 쓸 수 있다고요? have to라고 했죠. 시험에 나올 수 있으니 잘 기억해 두세요.
You must finish your homework (너는 숙제를 끝내야만 한다)
= You have to finish your homework.
You must leave now. (너 지금 떠나야 해)
= You have to leave now.
Tom had to take the first train. (탐은 첫 번째 기차를 타야 했다)
주) 과거의 의무를 나타낼 때는 have to의 과거형인 had to를 써요. must는 과거형이 없기 때문에.
You must not go near the water. It's dangerous. (넌 물 가까이 가서는 안돼. 위험해)
(강한 금지의 의미)
Tomorrow is Sunday. I don't have to get up early. (내일은 일요일. 난 일찍 일어날 필요가 없어.)
주) must와 have to의 부정은 뜻이 다르므로 유의해야 해요.
must not ~해서는 안된다. (강한 금지의 의미) don't have to ~할 필요가 없다.
Must I wear the uniform? = Do I have to wear the uniform? (유니폼을 입어야 하나요?)
Yes, you must (긍정의 대답)
No, you don't have to (부정의 대답) [No, you must not이 아님에 주의]
2) 강한 추측 뜻
must가 추측의 의미로 쓰일 때는 "~인 게 틀림없다. 확실하다"의 뜻으로 강한 확신이 담긴 추측을 나타내요.
A: Merry hasn't spoken to me for a week (메리는 일주일 동안 내게 말을 하지 않았어)
B: She must be angry with you (그녀가 너한테 화난 게 틀림없어)
A: Did you hear that? Mark likes me! (너 그거 들었어? 마크가 나를 좋아한대!)
B: What? It can't be true. (뭐라고? 그럴 리가 없어)
주) 추측을 나타낼 때 must의 부정은 must not이 아니라 'cannot'이에요.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영문법 : 현재 시제와 현재진행형 완벽 이해하기 (0) | 2024.07.17 |
---|---|
영문법 기초 : 명령법의 종류와 사용법 (직접, 간접, 조건, 양보) (0) | 2024.07.02 |
가정법 주의사항 - as if 가정법과 중요한 표현들 (31) | 2024.07.02 |
영문법 심화 혼합 가정법과 I wish 가정법 완벽 정리 (0) | 2024.07.01 |
기초영문법 가정법 마스터하기 1 :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 (0) |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