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가정법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에 대해 살펴봤었죠? 오늘은 혼합가정법과 I wish + 가정법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1. 혼합가정법

a.. 내용 : 조건절과 귀결절의 시제가 서로 달라요.
b. 예 :
1) If he had taken the doctor's advice, he would be fine now.

조건절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의 반대예요.
귀결절 :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의 반대예요.
해석 : 그가 의사의 충고를 들었더라면 (사실은 듣지 않았어요) 지금 괜찮을 텐데 (현재 괜찮지 않아요).
그가 의사의 충고를 듣지 않은 것은 과거의 일이에요. 몸이 괜찮지 않은 것은 현재의 일이고요.

2) If you had not been born, my life would be meaningless.
- 해석 : 네가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내 삶은 무의미할 텐데.
- 태어난 일은 과거예요. 내 삶이 의미 있는 것은 현재고요.

2. I wish + 가정법
현재 이루기 힘든 소망이나 과거 일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요.

1) I wish I could see him more often.
= I'm sorry I can't see him more often

해석 : 그를 좀 더 자주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자주 보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에요)
[I wish + 가정법과거]는 현재 그렇지 못한 것을 유감스러워하거나 실현 불가능한 소망을 나타내요. 따라서, " ~라면 좋으련만"이라고 해석해요.

2) I wish I hadn't drunk so much last night.
= I'm sorry I drank so much last night

해석 : 어젯밤에 술을 너무 많이 마시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I wish +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일에 대한 유감이나 아쉬움을 나타내요.
따라서 "~했더라면 좋으련만"으로 해석해요.

3) I wish she were here now. = I'm sorry she isn't here now.

이처럼 I wish 다음 절에 가정법을 쓰게 되면 실현 불가능한 것을 소망하는 의미이기 때문에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해요.
예를 들어, 병원에 문병 가서 환자에게 I wish you would get better soon.이라고 말하면 환자가 화를 낼 거예요. 왜냐면, "그럴 가능성은 없지만 네가 낫기를 바라"라고 말한 것이 돼버리기 때문이죠.
이때는 I wish 보다는 I hope you will get better soon으로 'I hope'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맞아요.

+ Recent posts